증여 설명

부부공동명의증여 세금 확인해드려요

법소식통 2023. 1. 15. 23:08

 

 

 

 

부부명의변경 방법 몇 가지

 

부부공동명의증여 포함하여 부부 관계에서 명의변경 방법은 2가지로, 무상증여 그리고 유상증여가 있는데, 이는 상황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전체가 아닌 일부만 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원인이 이혼인 경우 이혼 후 재산분할 방법도 있습니다.

 

 

 

 

 

증여세금 무료계산

 

저희 법무사 포함 법무사카페에 상담신청시 증여세금 + 수수료 무료계산부터 해드립니다.

 

글 아래 비용견적 예시자료 확인 후 ' 전화 문자 카톡 ' 상담 → 법무사 질문에 답변 → 비용견적 제공 → 의뢰 여부 결정 → 날짜 및 시간 예약 → 1회 만남으로 처리하게 됩니다.

 

인터넷에  「  법무상담커뮤니티 법무사카페  」  검색 후 방문해서 지역에 맞게 직접 연락해서 잡는 것도 가능합니다.

 

법무사카페에는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울산 광주광역시 세종 천안 경기도 지역 법무사사무실들이 모여 있습니다.

 

 

 

 

 

 

 

10 ~ 90% 사이로 증여가능

 

부부공동명의증여 가능한 범위는 1% 부터 가능하지만,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10 ~ 90% 사이로 일부만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받는 범위에 따라 세금도 달라지게 됩니다.

 

100% 전부 증여시 1,000만원이 든다면, 10% 만 증여시 100만원만 들게 됩니다.

 

 

 

 

 

 

 

부부증여 전체적인 세금 종류

 

부부증여 ㆍ 부부공동명의증여 진행시 발생하는 세금은 ' 취득세(등록세), 교육세, 농특세, 채권, 증지 포함 등기비용 ' 이 있고, ' 증여세 ' 가 있습니다.

 

등기비용은 법무사에서 평가해드리고, 1% 를 받아도 무조건 발생하는 항목이며, 증여세는 세무사에서 평가해드리며, 부부간증여세 초과분에 대해서만 발생하게 됩니다.

 

 

 

 

 

 

부부증여 세금 있어요

 

부부증여 ㆍ 부부공동명의증여 진행시 부부간에는 6억 이하는 세금이 없다고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6억이라는 소리는 부부간 증여세 공제를 6억원까지 해준다는 것으로, 6억 이하인 경우 증여세는 없지만, 취득세 포함 등기비용은 무조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법무사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증여 취득세 12% 적용

 

증여 취득세 세율은 지역에 따라 ㆍ 주택수에 따라 다릅니다.

 

2주택자 이상이면서 조정대상지역 내 부동산을 증여시 증여 취득세 세율은 무조건 12% 인데,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3.5% 로 줄어들게 됩니다.

 

위는 무상 부분에 대한 것이고, 유상 부분은 3주택자부터는 무조건 세율이 점점 올라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