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재산에 대한 관리 및 처분 행위를 편하게 하기 위해 공동상속인 중 특정 상속인 1명이 상속 후 나중에 팔아서 정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안전장치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십니다.
상속재산분할협의서 안에 내용을 기재 ㆍ 근저당권설정 ㆍ 차용증 ㆍ 가등기 등 다양한 방법을 생각하지만, 100% 확실한 안전장치는 없습니다.
상속 당시 상속을 받으면 되는 것을 각자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상속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이 방식은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상속을 받으면 세금이 많이 나와서 그러한 경우, 그에 대한 위험성도 함께 비교해서 결정하실 부분입니다.
'상속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아파트 상속등기견적 법무사 (0) | 2025.01.10 |
---|---|
토지상속절차 - 대구 울산 부산 법무사 위임 (0) | 2024.12.26 |
아파트상속등기 후 5년 안에 팔지 못한다는 소리 (0) | 2024.04.28 |
소유권이전등기법무사비용 - 상속 (0) | 2023.11.02 |
사망신고후절차 상속법무사비용 먼저확인 (1) | 2023.10.26 |